학부

학부

HOME 학부 공학교육인증 신소재공학심화프로그램

신소재공학심화프로그램

학위명칭

공학인증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의 졸업(예정)증명서, 성적증명서 등에 공학교육 인증사항이 표기되며, 일반과정의 학생과 구별된다.

학위명칭표 : 구분, 공학인증 프로그램 이수 졸업생, 일반프로그램 졸업생에 관한 정보 제공
구분 공학인증 프로그램 이수 졸업생 일반프로그램 졸업생
학위명 공학사(신소재공학심화프로그램) 공학사

학부 연혁

프로그램 교육목표

프로그램 교육목표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 한국공학교육인증원(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of Korea : ABEEK)
  • 한국공학교육 인증원은 대학의 공학 및 관련 교육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정책, 절차, 기준, 지침 등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증 및 자문을 시행하는 기구이며, 공학교육의 발전을 촉진하고 실력을 갖춘 공학기술 인력을 배출하는데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된 사단법인 인증기관
  • 내부 조직으로는 인증사업단, 대외 협력위원회, 교육정보위원회, 정책개발위원회, 홍보편집위원회, 사무처 및 이사회로 구성되어 공학교육의 세계화, 선진화를 추구
  • 1999년 한국공학한림원, 한국공학기술학회,교육부,산업자원부,전국공과 대학장 협의회, 산업체, 공학관련 전문학회가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설립한 기관
1. 프로그램 교육목표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 PEO1, PEO2, PEO3
PEO1 소재공학의 기반을 이루는 공학 기초학문 강화: 이론과 실습을 통하여 소재에 대한 기초 및 응용 기술의 기반이 확립된 인력 양성
PEO2 소재공학의 현장 적응능력 강화: 소재 응용기술 교육을 강화하여,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실용기술과 첨단 응용기술을 현장에 접목시킬 수 있는 우수한 전문 인력 양성
PEO3 직업적, 도덕적 책임의식과 협동심 함양: 기술인으로서의 직업적, 도덕적 책임의식을 바탕으로 더불어 사는 품성을 가지며 합리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전문인 양성
교육목표 설정 및 개선을 위한 구성원의 요구 반영 방법 및 주기
대학원 공학교육인증의 개념 - 1. 공통 교육과정표 : 교과목코드, 교과목명(국문), 학점, 이론시간, 실험시간, 학점에 관한 정보 제공
구성원 반영방법 담당위원회 조사주기 개선주기
재학생 설문조사 평가위원회 1회/년 교육목표개선주기4년
졸업생 설문조사/진로조사 평가위원회 1회/년
가족회사 설문조사/외부자문위원회 외부자문위원회 1회/년
산업체 초점그룹면담 평가위원회 1회/년
교수진 프로그램위원회활동 프로그램위원회활동 2회/년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전체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신소재공학심화프로그램 교육목표 공개 웹사이트
2. 신소재공학심화프로그램 교육목표 공개 웹사이트 표 : 홈페이지종류, 웹사이트 주소, 비고에 관한 정보 제공
홈페이지종류 웹 사이트 주소 비고
신소재공학전공 홈페이지 http://mse.kumoh.ac.kr 항시공개
공학교육혁신센터 홈페이지 http://abeek.kumoh.ac.kr 항시공개

전공심화과정

본 프로그램에서는 학생들로 하여금 다양한 교과목 선택의 기회를 부여하고, 보다 심화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 3개의 분야로 전공심화과정을 구분하여 이수체계도에 제시하고 있다.

  • 가. 나노구조재료분야: 재료제조공정, 재료강도학, 비철금속재료, 나노복합재료, 재료가공학, 정보금속재료 등 신금속재료, 기능 및 구조재료, 나노재료에 대한 이해를 위한 교과목들로 구성
  • 나. 에너지기능재료분야: 구조세라믹스, 물질분리공학, 환경에너지공학, 파인세라믹스공정, 에너지재료설계, 전자세라믹스 등 고강도 세라믹스, 차세대 에너지재료, 친환경재료 및 리싸이클링에 대한 이해를 위한 교과목들로 구성
  • 다. 정보전자재료분야: 응용전자물성, 박막공학, 정보디스플레이공학, 나노반도체공정, 광전자재료, 유기나노공학 등 차세대 정보디스플레이소자, 초박막 제조기술, 나노기술기반 차세대 전자소자 등에 대한 이해를 위한 교과목들로 구성

교과과정 과목 구성 요약

교양교육과정 필수과목 편성표

2025학년도 이후 입학자

가. 기초교양(공통필수)

교양교육과정 필수과목 편성표 학년, 구분, 1학기, 2학기, 과목코드, 과목명, 학점
학년 1학기 2학기
구분 과목코드 과목명 학점 구분 과목코드 과목명 학점
1 교필(공통) LA0299 글쓰기와발표 2-2-0-0 교필(공통) LA0365 글로벌커뮤니케이션 3-3-0-0
교필(공통) LA0366 디지털문해력 3-3-0-0
2과목 5-5-0-0 1과목 3-3-0-0
■기초교양(공통필수) : 3과목 8학점

나. 학문기초교양 교과목

학문기초교양 교과목 : 학년, 구분, 1학기, 2학기, 과목코드, 과목명, 학점, 비고
학년 구분 1학기 2학기 비고
과목코드 과 목 명 학점 과목코드 과 목 명 학점
1 교필(지정) LA0500 대학수학1 3-3-0-0 LA0505 대학수학2 3-3-0-0 공통
LA0501 일반물리학1 3-3-0-0 LA0506 일반물리학2 3-3-0-0 학부
LA0502 일반물리학실험1 1-0-0-2 LA0507 일반물리학실험2 1-0-0-2 학부
LA0503 일반화학1 3-3-0-0 LA0508 일반화학2 3-3-0-0 학부
LA0504 일반화학실험1 1-0-0-2 LA0509 일반화학실험2 1-0-0-2 학부
소계 5과목 11-9-0-4 5과목 11-9-0-4
2 교필(지정) LA0511 공학수학1 3-3-0-0 LA0512 공학수학2 3-3-0-0 학부
소계 1과목 3-3-0-0 1과목 3-3-0-0
■ 학문기초교양(교필)/MSC :12과목 28학점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전체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다. 균형교양(교양선택) 및 일반교양(교양선택): 학생 자율 선택으로 19학점 이상 필수. 단, 균형교양의 경우 각 영역별 최소 1과목 이상 필수 이수하되, 영역 내의 교과목은 학생이 자율 선택

2024학년도 이전 입학자

가. 이전 교필/교심 교과목 편성표

(1) 교육인증/비인증 구분없이 다음 과목을 이수해야 함

(2) 2025학년부터 교양과목이 변경됨에 따라 학년/학기 상관없이 이수. 단, 교과목명(코드포함) 변경과 학점수가 변경된 교과목 확인 후 이수

이전 교필/교심 교과목 편성표: 과목코드, 과목명, 학점
과목코드 과목명 학점 과목코드 과목명 학점
LA0299 글쓰기와발표 2-2-0-0 LA0293 영어읽기와쓰기 2-2-0-0
LA0326 공학윤리 2-2-0-0 LA0200 인간과심리 2-2-0-0
LA0292 과학기술영어독해 2-2-0-0 LA0268 경영학원론 2-2-0-0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전체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나. 이전 MSC(기초도구)과목 교육과정 편성표

(1) 공학교육인증 과정 대상자, 공학교육비인증 과정 대상자(2011학년도 이후 입학자)

(2) 2025학년부터 이전 MSC(기초도구)과목이 교양과목으로 변경됨에 따라 과목코드, 이수구분 확인 후 이수

이전 MSC(기초도구)과목 교육과정 편성표 : 학년, 구분, 1학기, 2학기, 과목코드, 과목명, 학점, 비고
학년 구분 1학기 2학기 비고
과목코드 과 목 명 학점 과목코드 과 목 명 학점
1 기필 BA0002 대학수학1 3-3-0-0 BA0007 대학수학2 3-3-0-0 공통
BA0017 전공SW기초 3-3-0-0 공통
BA0003 일반물리학1 3-3-0-0 BA0008 일반물리학2 3-3-0-0 학부
BA0004 일반물리학실험1 1-0-0-2 BA0009 일반물리학실험2 1-0-0-2 학부
BA0005 일반화학1 3-3-0-0 BA0010 일반화학2 3-3-0-0 학부
BA0006 일반화학실험1 1-0-0-2 BA0011 일반화학실험2 1-0-0-2 학부
소계 5과목 11-9-0-4 6과목 14-12-0-4
2 기필 BA0025 공학수학1 3-3-0-0 BA0026 공학수학2 3-3-0-0 학부
소계 1과목 3-3-0-0 1과목 3-3-0-0
■ MSC(기초도구) 필수 :13과목 31학점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전체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전공SW기초: 교과목명·교과목코드·이수구분 변경, 학기 이동
* 전공SW기초: 교과목명·교과목코드·이수구분 변경, 학기 이동 : 종전과목, 동일대체 이수 과목, 교과목명, 과목코드, 이수구분, 학년/학기, 학점
1학기 2학기
교과목명 과목코드 이수구분 학년/학기 학점 교과목명 과목코드 이수구분 학년/학기 학점
전공SW기초 BA0323 기필 1/2 3-3-0-0 디지털문해력 LA0366 교양필수 1/1 3-3-0-0
* 동일이수 인정 과목 편성표

2014학년도 이전 입학자(공학교육인증과정 및 졸업사정 심사에 한함)

* 동일이수 인정 과목 편성표 : 2014학년도 이전 과목, 동일이수 인정과목, 해당 전공에 대한 정보 제공
2014학년도 이전 과목 동일이수 인정과목 해당 전공
공학수학 공학수학1 재료공학부 신소재공학전공
2014학년도 이전 입학자는 재료열역학1이 물리화학의 동일대체교과목임. 단, 물리화학 미 이수자 혹은 재수강자는 2학년 2학기 공학수학2를 반드시 이수하여야 MSC 31학점 이수 가능함

전공과목 교육과정 편성표

3. 전공과목 교육과정 편성표 : 학년, 구분, 1학기, 2학기, 이수구분, 과목코드, 과목명, 학점
학년 구분 1학기 2학기
과목코드 과 목 명 학점 과목코드 과 목 명 학점
전학년 전선 FP0001 지도교수상담 0-0-0-0 FP0001 지도교수상담 0-0-0-0
1 전필 EA0001 창의입문설계 3-0-3-0
소계 소계 1과목 3-0-3-0
2 전필 EA2003 재료과학1 3-3-0-0 EA2007 재료과학2 3-3-0-0
EA2004 현미경조직특성평가 3-1-1-2 EA2008 화학적특성평가 3-1-1-2
EA2005 기계적특성평가 3-1-0-4 EA2009 전자기적특성평가 3-1-0-4
EA2025 재료열역학1 3-3-0-0 EA2026 재료열역학2 3-3-0-0
전선 EA2011 전기전자공학 3-3-0-0 EA2012 재료조직학 3-3-0-0
소계 5과목 15-11-1-6 소계 5과목 15-11-1-6
3 전선 EA2027 소재제조공정설계 3-1-2-0 EA2040 소재분석평가설계 3-1-2-0
EA2028 에너지재료설계 3-1-2-0 EA2041 X-선공학및설계 3-1-2-0
EA2029 재료상변태 3-3-0-0 EA2042 전자재료2 3-3-0-0
EA2030 전자재료1 3-3-0-0 EA2043 재료강도학 3-3-0-0
EA2031 결정학개론 3-3-0-0 EA2044 비철금속재료 3-3-0-0
EA2032 철강재료 3-3-0-0 EA2045 재료전산학 3-3-0-0
EA2034 재료전기화학 3-3-0-0 EA2046 제련공학 3-3-0-0
EA2035 세라믹공정 3-3-0-0 EA2070 세라믹물성2 3-3-0-0
EA2036 유기재료개론 3-3-0-0 EA2048 그린에너지공학 3-3-0-0
EA2037 금속재료실무1 3-3-0-0 EA2049 유기재료물성 3-3-0-0
EA2038 재료안전실무 3-3-0-0 EA2050 반도체소자 3-3-0-0
EA2047 세라믹물성1 3-3-0-0 EA2071 재료공학양론 3-3-0-0
EA2074 재료분석법 3-3-0-0 EA2057 박막공학 3-3-0-0
EA2076 재료역학 3-3-0-0 EA2073 기능성유리 3-3-0-0
소계 14과목 42-38-4-0 소계 14과목 42-38-4-0
4 전선 EA2039 *종합설계1 2-0-2-0 EA2051 *종합설계2 2-0-2-0
EA2052 재료가공학 3-3-0-0 EA2060 전자현미경학및실습 3-2-0-2
EA2064 전자세라믹스 3-3-0-0 EA2061 기능금속재료 3-3-0-0
EA2054 이차전지재료 3-3-0-0 EA2062 표면처리공학 3-3-0-0
EA2055 정보디스플레이공학 3-3-0-0 EA2063 광전자재료 3-3-0-0
EA2056 반도체공정 3-3-0-0 EA2053 구조세라믹스 3-3-0-0
EA2058 금속재료실무2 3-3-0-0 EA2066 나노전자재료응용 3-3-0-0
EA2059 재료의파괴와손상 2-2-0-0
EA2033 탄소복합재료 3-3-0-0
EA2075 유기재료응용 3-3-0-0
소계 10과목 28-26-2-0 소계 7과목 20-17-2-2
전 필 4과목 12-8-1-6 5과목 15-8-4-6
전 선 25과목 73-67-6-0 22과목 65-58-6-2
총 계 29과목 85-75-7-6 27과목 80-66-10-8
□ 전공필수 : 9과목 27학점     □ 전공선택 : 47과목 138학점     ■ 계 : 56과목 165학점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전체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공학인증 필수과목(종합설계1, 종합설계2 중 택 1)

부전공 필수과목(과목명, 학점)
부전공 필수과목(과목명, 학점) : 부전공필수에 대한 정보 제공
부전공필수 재료강도학(3-3-0-0), 철강재료(3-3-0-0), 비철금속재료(3-3-0-0)
연계전공과 주전공에서 중복인정 교과목(과목명, 학점)
연계전공과 주전공에서 중복인정 교과목(과목명, 학점) : 그린에너지 연계전공, 창업 연계전공에 대한 정보 제공
창업 연계전공 재료과학1(3-3-0-0), 재료과학2(3-3-0-0), 이차전지재료(3-3-0-0), 광전자재료(3-3-0-0)

선수 과목표

선수 과목표 : 선수과목이 필요한 과목, 선수과목, 비고, 과목명, 과목코드, 구분, 학년/학기, 학점
선수과목이 필요한 과목 선수 과목 비고
과목명 과목코드 구분 학년/학기 학점 과목명 구분 학년/학기 학점
재료상변태 EA2029 전선 3/1 3-3-0-0 재료과학1 전필 2/1 3-3-0-0
전자재료1 EA2030 전선 3/1 3-3-0-0 재료과학2 전필 2/2 3-3-0-0
전자재료2 EA2042 전선 3/2 3-3-0-0 재료과학2 전필 2/2 3-3-0-0
비철금속재료 EA2044 전선 3/2 3-3-0-0 재료과학1 전필 2/1 3-3-0-0
세라믹물성1 EA2047 전선 3/1 3-3-0-0 재료과학2 전필 2/2 3-3-0-0
구조세라믹스 EA2053 전선 4/2 3-3-0-0 재료과학2 전필 2/2 3-3-0-0
광전자재료 EA2063 전선 4/2 3-3-0-0 재료과학2 전필 2/2 3-3-0-0
종합설계1 EA2039 전선 4/1 2-0-2-0 소재제조공정설계 전선 3/1 3-1-2-0 네 과목중
택2 이상
소재분석평가설계 전선 3/2 3-1-2-0
에너지재료설계 전선 3/1 3-1-2-0
X-선공학및설계 전선 3/2 3-1-2-0
종합설계2 EA2051 전선 4/2 2-0-2-0 소재제조공정설계 전선 3/1 3-1-2-0 네 과목중
택2 이상
소재분석평가설계 전선 3/2 3-1-2-0
에너지재료설계 전선 3/1 3-1-2-0
X-선공학및설계 전선 3/2 3-1-2-0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전체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학생 포트폴리오

학생 E-포트폴리오 시스템
  • 학생 포트폴리오는 교과목 이수, 설계, 비교과활동 등에 대한 축적된 자료 관리를 통해 자신의 달성도를 확인 및 보완하고 소개하는 “종합평가 자료집”입니다.
  • 우리 대학은 학생 포트폴리오가 자기주도적인 대학생활에 필수적인 사항이며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음을 반영하기 위해 학생의 이력 및 경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대학이 인증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 선명한 자기 진로에 대한 전망과 계획 그리고 실천을 위해 본 학생 E-포트폴리오 시스템을 활용하실 것을 재학생 여러분께 당부드립니다.
이용절차
  • 교내외 프로그램을 통한 자기개발(학습)활동 자유롭게 입력(기록)
  • 기록내용에 대한 공식적인 인증(승인)을 희망할 경우 아래의 절차 준수
학생 E-포트폴리오 시스템

전입생의 취득학점 인정

신소재공학심화프로그램으로 편입, 전과, 복학한 전입생을 위한 수용정책은 아래 그림과 같다. 전입생은 프로그램 진입시 인증프로그램과 비인증프로그램중 선택을 하여 이수체계를 밟아가게된다.

금오공과대학교에서는 편입하는 학생에게 학칙 제20조, 학사운영규정 제11조와 제49조 등에서 편입학 자격, 편입학자의 학점인정, 교과이수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편입학 학생은 제3학년에 한하며, 제3학년의 편입학에 필요한 학력을 갖춘 자로 정하고 있으며, 학사학위를 가진 자는 제3학년에 한하여 정원 외로 학사편입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전적학교에서 이수한 교과목 학점은 편입학 당시의 교육과정에 따라 심사를 거쳐 교양과목·기초도구과목·전공과목 및 일반선택과목으로 1개 학기당 18학점까지 인정할 수 있으며, 이수인정학기는 4학기, 이수인정학점은 총 72학점 이내에서 인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